1. Anti- recycling
압축기(Compressor)의 운전 초기에는 condenser의 냉매가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과하여 evaporator에서 증발 후 compressor suction에 도달하여 suction pressure가 설정치까지 상승하는데 다소의 시간이 걸리므로 냉매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short cycling(최소 부하 설정압력에 의하여 자주 운전, 정지되는 것을 말함.) 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compressor motor의 손상 우려가 있으므로 보호하기 위하여 회로상에 anti-recycling relay를 설치한다. compressor의 운전과 동시에 이 relay의 timer가 작동하여 압축기 모터 운전 회로 상의 b접점을 setting시간 동안 열려있는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타이머의 setting시간이 20분이고 compressor가 운전한 지 3분 만에 꺼졌다면, 나머지 17분이 지나기 전에는 compressor의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2. Blow down, Boiler 난기운전
- blow down은 보일러 내 슬러지 및 수중의 용해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Surface blow down이다. 보일러수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표면의 물을 blow down 하는 것을 말한다. (인산염의 경우 경도 성분과 반응하여 비 부착성 슬러지(부유물)를 생성함으로써 스케일을 방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데 surface blow down을 함으로써 이를 제거할 수 있다.) 두 번째는Bottom blow down이다. 보일러 내의 침전된 슬러지나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바닥의 물을 blow down 하는 것을 말한다. (가성소다의 경우 염류와 작용하여 이를 침전시켜 스케일의 형성 및 축적을 방지하는데 bottom blow down을 함으로써 이를 제거할 수 있다.)
- 보일러 난기 운전
보일러 내에 oil이 유입되거나 economizer 관련된 작업 등 보일러 수를 all discharge 시킨 경우 작업 종료 후 운전 시에는 보일러에 온도가 낮은 새 물이 공급되는데 이때 바로 normal operation을 하게 되면 fire side와 water side의 큰 온도차로 인하여 열응력이 생겨 보일러 경판이나 튜브가 변형되며 심할 경우 파손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아주 낮은 load로 조금 운전하다가 쉬었다가를 반복하면서 서서히 load를 올려가는 것을 난기 운전이라고 한다. 보통 1~2시간 정도 소요된다.
3. 절연저항
절연물에 직류전압을 가할 경우 작은 값이지만 전류가 흐르는데 이 전류를 누설전류라 하며 누설전류와 가한 전압의 비를 절연저항이라고 한다. 즉, 절연저항(R) = 가 한전 압(V) / 누설전류(I)이다.(I) 이다. 선박의 절연저항계는 보통 ㏁ 단위의 고저항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100V이상의 직류 고전압을 사용하는데, 주로 수볼트의 전지 전압을 DC-DC converter로서 500V로 승압시킨 직류전압을 사용하고 있으며 측정범위는 0.01㏁ ~ 2000㏁이다. 계측된 절연 저항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양의 전류가 누설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감전이나 누전의 위험이 있으며, 누설 부위의 잦은 접촉에 의하여 생기는 spark로 인하여 화재가 일어날 수도 있다.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경우, 단자 간에 500V의 전압이 걸려 있으므로 이 전압에 의하여 측정할 회로내의 부품, 특히 transister, diode등의 반도체 소자, condenser, relay coil, fuse등에 주의해야하며, 또한 단자간에 인체가 접촉되면 감전될 수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먼저 측정 대상 단자에 전압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다. 즉, 측정 구간의 상위 전원 switch를 off 한 후, 접지단자(E)는 접지 쪽에 물리고 라인 단자(L)를 R, S, T상에 차례로 대어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 대상의 절연상태를 확인한 다음, 접지단자(E)를 R, S, T상에 차례로 대어 surge전압을 제거한다.
댓글